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바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만한다.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처리기법으로 번역 기법(컴파일 기법)과 인터프리터 기법이 있고 컴파일 기법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언어를 컴파일 언어, 인터프리터 기법을 통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언어를 인터프리터 언어라 한다. 컴파일러 고급언어로 작성된 소스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된 목적프로그램으로 번역해주는 번역기로 번역기법에서 사용된다. 저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어셈블러라고 하는 번역기를 통해 번역되며 사용되는 번역기 및 번역과정은 다음과 같다. 번역기 종류 1. 컴파일러 -고급언어를 번역해 어셈블리언어 혹은 기계어로된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 2. 어셈블러 - 저급언어를 번역해 기계어로된 ..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의 집합을 구성해 놓은 것을 데이터베이스라고 부른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를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라고 부른다. DBMS의 종류는 계층형, 망형, 관계형, 객체지향형 등이 있는데 관계형 DBMS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있다. 관계형 DBMS(RDBMS) Oracle, MariaDB, MySQL, Postgre SQL 등 다양한 RDBMS가 있다. RDBMS에서 모든 데이터는 테이블에 저장되는데, 테이블은 RDBMS의 최소 구성 단위이며 행(row)과 열(column)로 이루어져있다. RDBMS에선 공간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이러한 테이블을 여러개로 나누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나누어진 테이블은 기본키와 외래키를 이용..
개발을 하다 보면 날코딩, 하드코딩이란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어감에서부터 좋은 코드를 부르는 것은 아니란 걸 알았지만 정확한 의미를 정의하지 않고 그런가 보다 하며 쓰고 있었는데 문득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었다. 하드코딩되었다는 것은 상수나 변수에 들어가는 값(데이터)을 코드에 직접 입력해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를 말한다. 코드에 데이터가 입력되어있다는 것은 곧 값이 고정되어있단 것을 의미한다. 문제1) 확장성 및 유연성 #include using namespace std; //하드코딩 string hc(string s){ return "Hello World"; } //소프트코딩 string sc(string s){ return s; } int main(){ cout
1. repl.it The collaborative browser based IDE Replit is a simple yet powerful online IDE, Editor, Compiler, Interpreter, and REPL. Code, compile, run, and host in 50+ programming languages. replit.com 영어로 된 사이트지만 이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지원하는 언어가 다양하고 github과 연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웹사이트 반응속도나 저장소를 불러오는 속도가 빠르지만, 작성한 코드를 실행시키는 속도가 조금 답답한편이다. 매달 7달러를 지불하면 빠릿빠릿 한 유로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지만 간단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무료버전도 쓸만하다...
트랜잭션 트랜잭션은 한 개 이상의 SQL문으로 이루어진 작업을 위한 논리적인 작업단위로써 분할할 수 없는 최소 수행단위이다. 트랜잭션은 DML과 DDL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산의 집합이지만 논리적으론 하나로 보아야 하며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랜잭션의 필요성에 관한 예로, 누군가에게 100만원을 송금할 때 UPDATE 구문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행된다고 가정하면 A계좌의 UPDATE 구문이후 B계좌의 정보가 UPDATE된다. 이 때 A계좌의 UPDATE 쿼리가 실행된 후 예상치못한 오류가 발생한다면 A계좌의 데이터(100만원)는 사라지게된다. 만약 두 개의 UPDATE 구문을 하나의 트랜잭션에 담는다면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가 사라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
REST API와 RESTful API REST API를 한 마디로 정의하면 API가 REST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뜻하며 RESTful API는 REST방식을 잘 준수한 API를 뜻한다. 이게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 위해 REST와 API가 각각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웹 이나 모바일 앱에서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서버로 요청을 전송하면 서버는 그에 대한 응답을 보내준다. 예를 들면 도서관 시스템에서 검색창에 원하는 책을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누르면 검색결과가 나오는것과 같다. 이 때 사용자는 검색창을 이용해 도서 검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검색 창과 같이 지정된 형식으로 요청을 받아 프로그램간에 상호작용을 하는 수단을 API라고 할 수..
작년 이맘때쯤 공공빅데이터 청년인턴십에 참여해 교육을 받고 있었다. 그땐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아서 후기를 적을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최근에도 청년인턴 공고가 올라오는 걸 보고 문득 떠올랐다. 면접장 분위기 면접 복장은 자율이라 했지만, 아무래도 공공기관 면접이다 보니 남녀 모두 정장이 대부분이었다. 반바지를 입고 오신 분도 계셨는데, 면접관분들이 복장으로 페널티를 주거나 하시는 건 못 봤지만, 정장 사이에 캐주얼한 느낌이 조금 부자연스러웠다. 5 대 5로 면접이 진행됐으며 면접장 분위기는 편했다. 빅데이터 관련 질문을 많이한다고 들어서 관련 공부를 하고 갔지만, 딱히 관련질문이 들어오진 않았다(지역/면접관마다 다른듯하다). 인성 면접으로 진행됐으며, IT 비전공자에겐 중도포기를 어떻게 안 할 수 있는지를..
http://kcm.kfq.or.kr/_Information/Information_08.aspx KFQ 취업지원센터 혁신성장 청년인재 양성, 청년취업 아카데미, 이공계 전문기술 연수 kcm.kfq.or.kr 교육신청 배경 나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지만 책으로 하는 이론 공부에만 흥미를 가졌지, 실제로 무언가 구현하는 것에는 큰 재미를 느끼지 못해서 개발자는 나랑 안 맞다고 생각했다. 정확히 말하면 무언가 구현해보려 하기 전, 해보지 않은 서비스를 만든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개발에 손도 대지 않았다. 그러나 IT 전공자는 취업을 위해 반드시 프로젝트 경험이 필요하단 것을 깨닫고 국비과정에서 프로젝트를 경험해보기로 했다. 당시 정원 24명에 70명이 넘게 몰려 인터뷰를 통해 교육생 선발을 진행했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네트워크
- 부트스트랩
- Thymeleaf
- SQL
- JVM
- CSS
- CS
- svn
- 개발용어
- 오류
- C++
- 백준
- 오라클
- C
- 프로그래머스
- 스프링
- JSP
- 인턴
- 스프링부트
- Java
- 이클립스
- HeidiSQL
- Open API
- 환경설정
- 국비교육
- 넥사크로
- 데이터베이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