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작년 이맘때쯤 공공빅데이터 청년인턴십에 참여해 교육을 받고 있었다. 그땐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아서 후기를 적을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최근에도 청년인턴 공고가 올라오는 걸 보고 문득 떠올랐다.
면접장 분위기
면접 복장은 자율이라 했지만, 아무래도 공공기관 면접이다 보니 남녀 모두 정장이 대부분이었다. 반바지를 입고 오신 분도 계셨는데, 면접관분들이 복장으로 페널티를 주거나 하시는 건 못 봤지만, 정장 사이에 캐주얼한 느낌이 조금 부자연스러웠다.
5 대 5로 면접이 진행됐으며 면접장 분위기는 편했다. 빅데이터 관련 질문을 많이한다고 들어서 관련 공부를 하고 갔지만, 딱히 관련질문이 들어오진 않았다(지역/면접관마다 다른듯하다). 인성 면접으로 진행됐으며, IT 비전공자에겐 중도포기를 어떻게 안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느낌을 받았다.
교육장 분위기
경상권은 부산과 대구가 있는데 나는 부산역 인근에서 교육을 받았다. 5주 동안 진행되며 약 2주일은 프로젝트이다. 교육 일정이 촉박하기 때문에 수업 진도가 정말 정말 빠르다. 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배우는 데이터베이스 내용을 하루 만에 나가기도 했다. 그러니 이론 보단 R, QGIS 등으로 실습하는 과정을 꼭 집중/정리할 필요를 느꼈다. (+엑셀을 잘 한다면 프로젝트때 많이 활용할 수 있다.)
학습내용
DB 모델링, 기초 통계학을 이론적으로 배우고, R을 활용한 데이터분석, QGIS 공간분석, Python을 활용한 웹 크롤링/자동화 도구 제작을 실습했다. 자체교재 및 참고서가 지급되며, 강사님이 수업자료를 잘 준비해오셔서 쉽게 따라갈 수 있었다. 데이터 분석과 관련한 지식이 주된 내용이지만 개인적으로 실무 문서작성 방법을 알려주시는게 굉장히 유익했다.
수업 내용을 따라가기 힘들다면, 인프런에서 유료 강의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돈을 쓰고 싶지 않다면, 유튜브에 R 데이터 분석 강의를 찾아보자. QGIS 같은 경우 국내 커뮤니티가 많이 없고, 버전마다 UI가 많이 달라 원하는 강의나 정보를 찾기 힘들다 그러므로 QGIS 수업내용은 꼭 정리해놓자.
프로젝트
아마 2주 동안 진행된 걸로 기억하는데 1주일은 주제 선정에 소비했다. 보통 7명으로 팀이 구성되기 때문에 의견을 취합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으며, 사소한 갈등도 자주 생겼다. 주제를 선정하기 힘들다면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표준분석모델을 구한 뒤 적용할 수 있는 주제를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프로젝트 때 주로 R, 엑셀, QGIS를 이용한다. Python으로도 할 수 있지만, 교육과정 내용이 ADsP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 R 위주로 진행했다. 프로젝트 점수가 높아야 원하는 곳에서 근무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발표자료 제작도 굉장히 중요하다.
인턴
구청에 혼자 근무하게 되어서 걱정했지만, 다행히 공공데이터 인턴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같이 다녔다.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니 구청 담당관님은 일정을 널널하게 해 주셨다. 물론 프로젝트를 빨리 끝낸다면 새로운 프로젝트 수행할 수도 있지만 나는 프로젝트를 천천히 진행하면서 ADsP 자격증 공부를 병행했다.
올해부터 빅데이터 분석기사라는 국가공인 자격증이 생겼기 때문에, 만약 자격증 취득을 고민한다면 빅데이터 분석기사 취득을 추천한다. ADsP와 난이도는 비슷하지만 민간 자격증과 국가공인 자격증 차이의 갭이 존재한다.
구청처럼 널널한 곳도 있는 반면, 시청에서 근무한 교육생들은 굉장히 바빴던 걸로 기억한다. 일 경험 수련생이라는 취지에 적합한 근무환경을 찾는다면 시청에서 근무해보는 것도 좋을 거라 생각한다. 개인 시간이 많고 편한 근무환경이 그렇게 좋은 경험은 아니었다. 연락하는 교육생들 중 공기업에서 일한 분은 없어서 공기업 분위기는 어떤지 잘 모르겠다.
멘토링
인턴 기간 동안 멘토링이 3~4회 정도 진행했던 걸로 기억한다. 공기업에서 데이터 분석 직무를 맡고 계신 멘토분이 매칭 되었고, 취업상담이나 기술적인 부분, 기획적인 부분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마지막 멘토링 때는 결과 발표를 하는데 거리두기 격상으로 Zoom으로 진행했다.
장점
- (문서작성) 실무 문서 작성 및 공공기관 근무 시 공문서 작성을 경험할 수 있다.
- (협업경험) 교육과정에서 자소서/면접 때 어필할 수 있는 협업을 경험할 수 있다.
- (자료수집) 공공데이터 및 민간데이터를 수집하면서 자료 수집능력을 정말 많이 키울 수 있다.
아쉬운 점
- 2020년 기수에서 공기업 TO가 너무 적었다. 운이 없으면 원하는 기관에 가지 못할 수도 있다.
- 짧은 기간 동안 너무 많은걸 알려주려 한다. 전공자, IT 관련 수업을 들어본 사람들은 집중해야 할 파트, 편하게 듣는 파트가 어느 정도 구분 가능하겠지만, 비전공자들은 많이 혼란스러웠을 것이라 생각한다.
'Computer Science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온라인 코딩 사이트 추천 (0) | 2022.06.16 |
---|---|
REST API와 RESTful API란? (0) | 2022.04.06 |
한국품질재단 클라우드 교육과정 후기 (0) | 2021.09.06 |
[JSP] 회원가입 및 이메일 인증 구현하기 (0) | 2021.08.31 |
이클립스에서 JSP 웹 개발 - 환경설정 (0) | 2021.08.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네트워크
- 오라클
- 환경설정
- 백준
- C++
- Thymeleaf
- JVM
- HeidiSQL
- 스프링
- 스프링부트
- 오류
- 넥사크로
- Java
- JSP
- Open API
- 개발용어
- 국비교육
- 이클립스
- CS
- CSS
- C
- SQL
- 부트스트랩
- 데이터베이스
- 인턴
- 프로그래머스
- sv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